✅ 체크 항목 | 상태 체크 (✔ / ✘ / 유의) | 📌 비고 및 메모 |
---|---|---|
항문 체온 ≥ 38도 측정 | 체온계 사용 필수, 해열 방법(미지근한 물수건 등) 숙지 | |
미지근한 물수건으로 체온 낮추기 | 첫 조치로서 권장 | |
생후 3개월 미만 시 병원 내원 필요 | 즉각적인 소아과 상담 혹은 응급실 방문 기준 | |
수유 직후 강한 구토 발생 여부 | 상체 30도 올려 체위 조절 후 추이 확인 | |
사레 또는 반복적 기침 여부 | 1세 미만 아기는 하임리히법 금지, 등 두드리기 등 적용 | |
입술 또는 손톱이 푸르게 변색됨 | 호흡곤란 의심 시 즉시 응급조치 시행 | |
무반응 또는 이상 저항 반응 없음 | CPR 준비 또는 즉시 응급실로 이동 | |
갑자기 붉어지는 발진 또는 두드러기 발생 | 알레르기 가능성, 즉시 소아과 또는 응급 진료 | |
경련 또는 발작 증상 발생 | 심박 안정 후 즉시 응급 의료기관 이동 |
🚩 상황 | 🔍 징후 요약 | 🛠 초기 대응 행동 |
---|---|---|
고열 (38도 이상) | 항문체온 기준 38℃ 이상, 아기 몸이 뜨거움 | 옷을 벗김 → 미지근한 수건으로 체온 낮춤 → 생후 3개월 미만이면 병원으로 즉각 이동 |
강한 구토 / 사레 / 질식 위험 | 수유 직후 구토, 사레 유발 가능성, 기침 흐름 있음 | 눕히지 않고 상체 30도 세워 트림 유도 → 반복 시 자세 조절 또는 의사 상담 |
호흡곤란 / 무호흡 등 | 입술·손톱 파래짐, 숨멎거나 천천히 호흡 | 즉시 119 신고 → 소아용 CPR 시행 →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이동 |
무반응 또는 울지 않음 | 반응 부족, 축 처진 상태 | 안전한 자세 확보 후 즉시 응급의료기관으로 이동 |
갑작스런 발진 또는 두드러기 | 전신 혹은 일부 부위 붉은 발진, 가려움 증세 | 알레르기 의심 → 즉시 진료 및 항히스타민제 대비, 필요 시 응급실 이동도 고려 |
발작 / 떨림 / 의식 소실 | 전신 흔들림, 눈동자 초점 상실, 깨어나지 않음 | 움직임 최소화 → 즉시 안정 상태 유지 → 응급실 혹은 119 연결 |
• 119 응급전화:
• 평소 방문 소아과 이름:
• 해당 병원 전화번호:
• 병원 주소:
• 예비 응급 연락처 (가족 또는 친인척):